입사하고 나서 계속 Java, Javascript 만 이용해서 개발해왔다. 거의 대부분이 반복되는 개발환경안에서 Enterprise 웹 어플리케이션이 대부분이었다. 스프링 프레임워크, java, jsp, javascript, jquery .... 반복되는 개발 환경안에서 구체적이진 않지만 새로운 것을 하고 싶은 갈망이 생겼다.그러다 작년 초에 막연히 나도 Java 말고 새로운 언어를 할 줄 알아야 하지 않나? 라는 생각을 자주 하고 다녔고,서점에서 서성거리다가 "폴리글랏 프로그래밍" (http://www.hanbit.co.kr/book/look.html?isbn=978-89-6848-086-7) 이란 책이 얇다는 이유로 잠깐 읽었다가 처음 접하는 호기심이 생기는 내용들로 가득해서 그 자리에서 바로 질러버..
1. 목표 - LED 밝기 제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단, 지난번에 LED 연결하기와 회로구성은 동일하다. 2. PWM (Pulse Width Modulation) - RPi.GPIO API에 LED의 밝기와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PWM 함수를 이용한다. - PWM은 초당 펄스의 주파수를 유지한 채, 펄스의 길이를 변화시키는 기술이다. - LED 밝기, 모터 스피드 제어에 사용된다. 1) PWM 초기화 - PWM 초기화를 위해서, GPIO.PWM([pin], [frequency]) 함수를 사용한다. . pin : GPIO의 pin 번호 - pwm.start([duty cycle]) 함수를 통해, duty cycle 초기값을 세팅한다. pwm = GPIO.PWM(18, 500) pwm.start(100..
"라즈베리파이 쿡북" 책을 보면서, 실습을 진행하고 있는데, 쿡북시리즈다 보니 구체적인 내용이 부족하다.부족한 내용은 산딸기마을 http://www.rasplay.org/?p=2049 싸이트를 참조해서 진행한다. - GPIO 핀들이 많이 있는데, 데이터 통신하는 방법에 따라서 여러가지 핀들이 있다. 일단은 지나가고, 나중에 해당 데이터 통신을 할때 자세히 알아봐야 겠다. ex. I2C (http://mintnlatte.tistory.com/201), UART (http://ko.wikipedia.org/wiki/UART) 1. GPIO 커넥터 안전하게 사용하기 1) 전원 구성 - 라즈베리파이 동작 전원은 3.3V이고 그 이상 전원에는 보호하는 기능이 없다. 2) 전류 사용 - 3.3V 전원 핀에는 최대 ..
최소 스패닝 트리 (Minimal Spanning Tree) - 최소한의 비용을 들어서 관계도를 만드는 것 - 주의 : 트리는 순환이 없어야 한다. - 최소 스패닝 트리를 해결하기 위한 알고리즘은 '프림 알고리즘(Prim's algorithm)'과 '크루스칼 알고리즘(Kruskal's algorithm)'이다. - 위키 사이트에 "예제"를 보면 실제 알고리즘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파악이 쉽다. 1. 프림 알고리즘 - 정점을 선택하고, 그것과 연결되 가장 적은 비용의 정점을 선택하는 방식 - 위키 : http://ko.wikipedia.org/wiki/프림_알고리즘 2. 크루스칼 알고리즘 - 모든 비용을 순차적으로 나열하여, 가장 적은 비용이 드는 간선을 선택해 나가는 방식 - 위키 : http://ko.w..
2장에서는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개념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다.자바스크립트가 익숙한 사람이라면, pass 또는 대충 읽고 넘어가도 무방할 정도로 보인다.단, 중간중간에 다시 기억하면 좋을 내용들을 아래에 정리해 본다. [참조] 해당 내용은 "Node.js, MongoDB와 AngularJS를 이용한 웹 개발" 책에서 내용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익명 함수 사용 - 장점 : 해당 함수가 코드 내 다른 곳에서는 사용되지 않기 때문에, 형식적인 정의가 필요 없다. -> 코드가 간결해지고 가독성이 좋아진다. 객체 프로토타입 패턴 사용 - 프로타입을 사용하면, 프로토타입 내부에 정의된 함수는 자바스크립트가 로드됐을 때 한 번만 생성 (새로운 객체가 생성될 때마다가 아니다.)
[참조] 해당 내용은 "Node.js, MongoDB와 AngularJS를 이용한 웹 개발" 책에서 내용을 인용하고 있습니다. 기본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설명하고, Mean Stack의 각 컴포넌트들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설명한다.일반적인 책들처럼 초반에 각 컴포넌트들의 일반적인 특장점을 주로 설명하고 있다.간단하게 특장점을 이해하고 넘어가고, 뒤에서 상세기술들을 사용해보면 실제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겠지 ㅎㅎ 1. Node.js - 웹 서버와 서버측 스크리브, 기존 서버의 대부분의 기능을 작성할 수 있다. - 특징 . javascript end-to-end - 자바스크립트로 서버, 클라이언트 스크립트를 둘 다 작성 가능 - 클라이언트 개발자와 서버 개발자가 같은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 쉽게 서..
2015년 처음으로 받은 택배는 바로, "Node.js, MongoDB와 AngularJS를 이용한 웹 개발" 책이다.http://www.acornpub.co.kr/book/webapp-node-mongodb-angularjs 예약판매를 신청해서 받은 만큼 무지 설렜으나...책 사이드가 찢어져 있었다...본드 부분도 분리되어 있어서.. 보다보면 페이지가 너덜너덜 빠지는 증상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가 된다. ㅠㅠ책 분권할때도 그게 싫어서 안하려고 하는 편인데 .. 그래도 빨리 보고 싶어서 그냥 참고 넘어가려고 한다 ㅎㅎ 올해에는 반드시 MEAN Stack을 사용해서 서비스를 만들어서 돌려볼 것이다.일단 빠르게 MEAN Stack에 대해 살펴보고, 아이디어를 정해서 서비스를 구체화시켜 보자~!!화이팅이다.ㅎ
Node.js IDE로 nodeclipse 를 세팅해서 사용하고 있었다.일 할때도 eclipse에서 개발해서 지겹기도 했고, 새로운 tool을 사용하고 싶은 욕구가 충만했기 때문에.. 개발환경을 바꿔보고 싶었다. Webstorm, netbeans, aptana 중에 무료 라이센스인 aptana를 사용하려고 했으나...webstrom이 갑이라는 애기를 너무 많이 들었고, 무료로 30일 버전을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에망설임 없이 webstorm을 설치했다. 1. Webstorm 설치 - download url : https://www.jetbrains.com/webstorm/download/ 2. 실행 - 역시 Webstorm 답다고 해야하나, javascript ide로 유명한게 맞구나 라는 생각이 든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Proxy
- git proxy
- mocha
- proxy node.js
- jupyter notebook
- React시작하기
- React 시작
- LED 밝기 제어
- LED 연결하기
- ES6
- Git 암호 저장
- Git 개념
- enzyme
- Learning React
- react
- pandas
- Github proxy 서버
- 라즈베리파이 Screenshot
- markdown티스토리
- start-React
- 파이썬 Jupyter Notebook 실전입문
- redux
- Git Password
- 파이썬 데이터분석
- 라즈베리파이 GPIO
- matplotlib
- EJS
- Express
- 마크다운 티스토리
- 라즈베리파이 스크린샷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