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성자 대신 static factory 메소드 사용을 고려 1) 장점 - 생성자와 달리 자기 나름의 이름을 가진다. - 생성자와 달리 호출될 때마다 매번 새로운 객체를 생성할 필요가 없다. . Flyweight 패턴과 유사 . 동일한 인스턴스가 자주 사용될 때, 객체 생성시 자원이나 시간이 많이 든다면 프로그램 성능 향상 가능 - 자신이 반환하는 타입의 어떤 subtype 객체도 반환할 수 있다. . 생성자는 자신의 클래스 인스턴스만 반환한다. - parameterized type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코드를 간결하게 해준다. . 타입 추론(type inference) public class StaticFactory { public static HashMap newInstance() { return..
회사에서 node.js 공부를 해보려고 했는데... npm을 통해서 모듈 설치가 되지 않는다... error message : In most cases you are behind a proxy or have bad nework settings 생각해보니 사내에서는 Proxy를 통해서만 인터넷 접속을 할 수 있다... 그럼 proxy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는 npm을 통해서 모듈을 설치할 수 는 없을까??? npm을 통해서 아닌 다른 방법을 통해서 모듈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려고 했지만.... 똑같이 시간이 드는거 정공법을 통해서 해결하고 싶었다 # 해결방법 1) proxy 서버 주소확인 - 인터넷 옵션 > 연결 탭 > LAN 설정 버튼 클릭 > "자동 구성 스크립트 사용" 부분의 주소값 확인- cmd 실행..
- Total
- Today
- Yesterday
- 라즈베리파이 Screenshot
- 마크다운 티스토리
- mocha
- 라즈베리파이 스크린샷
- Git 암호 저장
- React 시작
- Git Password
- pandas
- redux
- LED 연결하기
- 파이썬 데이터분석
- Git 개념
- 파이썬 Jupyter Notebook 실전입문
- proxy node.js
- EJS
- 라즈베리파이 GPIO
- git proxy
- Proxy
- react
- enzyme
- ES6
- jupyter notebook
- markdown티스토리
- React시작하기
- matplotlib
- Learning React
- LED 밝기 제어
- Github proxy 서버
- Express
- start-React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